[Programmers][Python] 주차 요금 계산(Lv.2)
1. Problem
00:00부터 23:59까지의 입/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
- 기본 시간 이하면, 기본 요금 청구
- 기본 시간 초과하면 기본 요금 + 단위시간 * 단위 요금
- 이용 시간은 올림하여 단위 시간과 비교
-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**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
- 동일한 차량이 두번 이용할 수 있음
[input]
- fees : [기본 시간, 기본 요금, 단위 시간, 단위 요금] 의 배열 (단위:분,원)
- records : “시각 차량번호 내역(IN/OUT)” 형식의 배열. 하루 동안의 입/출차 기록
- 시각 : HH:MM형식. 00:00 ~ 23:59
- 차량번호 : 길이 4의 문자열
- 내역 : IN은 입차, OUT은 출차
-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, 23: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
문제 원본
문제 설명
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(입차) 나간(출차) 기록이 주어졌을 때,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.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.
-
요금표
기본 시간(분) 기본 요금(원) 단위 시간(분) 단위 요금(원) 180 5000 10 600 -
입/출차 기록
시각(시:분) 차량 번호 내역 05:34 5961 입차 06:00 0000 입차 06:34 0000 출차 07:59 5961 출차 07:59 0148 입차 18:59 0000 입차 19:09 0148 출차 22:59 5961 입차 23:00 5961 출차 -
자동차별 주차 요금
차량 번호 누적 주차 시간(분) 주차 요금(원) 0000 34 + 300 = 334 5000 + ⌈(334 - 180) / 10⌉ x 600 = 14600 0148 670 5000 +⌈(670 - 180) / 10⌉x 600 = 34400 5961 145 + 1 = 146 5000 -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, 23: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.
- 0000번 차량은 18:59에 입차된 이후,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. 따라서, 23: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.
- 00:00부터 23:59까지의 입/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.
-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,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.
-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, 기본 요금에 더해서,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.
-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, 올림합니다.
- ⌈a⌉ :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. 즉, 올림을 의미합니다.
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, 자동차의 입/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-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, 23: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.
제한사항
fees
의 길이 = 4- fees[0] =
기본 시간(분)
- 1 ≤ fees[0] ≤ 1,439
- fees[1] =
기본 요금(원)
- 0 ≤ fees[1] ≤ 100,000
- fees[2] =
단위 시간(분)
- 1 ≤ fees[2] ≤ 1,439
- fees[3] =
단위 요금(원)
- 1 ≤ fees[3] ≤ 10,000
- fees[0] =
- 1 ≤
records
의 길이 ≤ 1,000records
의 각 원소는"시각 차량번호 내역"
형식의 문자열입니다.시각
,차량번호
,내역
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시각
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,HH:MM
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.HH:MM
은 00:00부터 23:59까지 주어집니다.- 잘못된 시각(“25:22”, “09:65” 등)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차량번호
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, `0’~’9’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.내역
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,IN
또는OUT
입니다.IN
은 입차를,OUT
은 출차를 의미합니다.records
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.records
는 하루 동안의 입/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,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- 같은 시각에,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.
- 마지막 시각(23:59)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-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,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.
-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
-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(차량번호가 같은 차량)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
2. Solution
- records 배열의 시각, 차량번호, 내역 문자열 분리 → 2차원 리스트
- 다음 단계에서 주차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시간:분 형식에서 분 단위 시간으로 변경
- 차량번호, 시간 순으로 정렬
- 누적 주차 시간 구하기
- 같은 차량이 여러번 이용 가능하므로 차량번호 순으로 정렬된 2차원 리스트를 활용함
- 처음엔 {차량번호:시각}으로 구성된 IN, out 딕셔너리를 각각 만들어야겠다 생각했으나, 중복 이용 차량을 따로 저장할 수 없는 문제
- IN, OUT에 대한 정보가 각각 리스트의 다른 원소로 저장되어 있고, 이용 시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두 정보를 한번에 가져와야 하므로 for문이 아닌 while문을 사용
- i를 인덱스 변수로 사용
- IN, OUT에 대한 정보가 모두 있는 경우는 +2, in만 있는 경우는 +1
-
인덱스 i의 차량 번호와 다음 인덱스의 차량 번호가 같다면 IN, OUT의 한 세트 → 각 인덱스에서 입고 시각, 출고 시각 가져옴
같지 않다면 OUT 기록 없음 → 입고 시각만 가져오고 출고 시각은 23:59
-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(차량번호가 같은 차량)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는 없다고 했으므로 IN, OUT을 따로 판단할 필요 x
- 즉, OUT된 기록 없이 같은 차량이 다시 IN 하지 않는다는 말이므로 OUT기록이 없는 것은 마지막 IN에 대해서만 발생
- 마지막 인덱스가 IN인 경우 다음 인덱스를 가져와 차량번호가 같은지 판단하는 조건문에서 인덱스 에러가 발생함 → 먼저 마지막 인덱스인지 조건문으로 확인
- 누적 주차 시간 계산
딕셔너리.get(x, 'default value')
- x라는 Key에 대응되는 Value를 돌려줌
- 해당 key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,
딕셔너리[x]
는 오류를 발생시키지만 get함수는 None을 돌려줌 - key 값이 없을 경우 미리 정해 둔 디폴트 값을 가져오게 할 수 있음
- 같은 차량이 여러번 이용 가능하므로 차량번호 순으로 정렬된 2차원 리스트를 활용함
- 주차 요금 계산
- 기본 시간 이하인 경우 : 기본 요금
- 기본 시간 초과한 경우 : 기본 요금 + 올림((이용 시간 - 기본 시간) / 단위 시간) * 단위 요금
- math 라이브러리에
ceil(x)
함수
- math 라이브러리에
Code
import math
def solution(fees, records):
answer = {}
# [시각, 차량번호, 입출고]로 구성된 2차리스트 / 차량번호, 시간 순으로 정렬 / 시간은 분단위로 변경
recordsList = []
for rec in records:
time, num, io = rec.split()
hh, mm = time.split(':')
recordsList.append([(int(hh) * 60 + int(mm)), num, io])
recordsList = sorted(recordsList, key=lambda x:(x[1],x[0]))
# 누적 주차 시간
i = 0
while i < len(recordsList):
num = recordsList[i][1]
if i == len(recordsList) - 1:
in_time, out_time = recordsList[i][0], (23 * 60 + 59)
i += 1
elif num == recordsList[i+1][1]:
in_time, out_time = recordsList[i][0], recordsList[i+1][0]
i += 2
else:
in_time, out_time = recordsList[i][0], (23 * 60 + 59)
i += 1
diff = out_time - in_time
answer[num] = answer.get(num, 0) + diff
# 주차 요금 계산
for num, cum_time in answer.items():
if cum_time <= fees[0]:
answer[num] = fees[1]
else:
answer[num] = fees[1] + math.ceil((cum_time - fees[0]) / fees[2]) * fees[3]
return [value for key, value in sorted(answer.items())]
Sort
a라는 객체를 정렬할 때
a.sort() # 해당 리스트에서 정렬
a = sorted(a) # 정렬된 리스트 반환
- list, tuple, dictionary, str 모두 사용 가능
key
: 정렬 기준- 정렬 기준이 복수 개일 경우, 튜플로 묶어서 사용
-
를 붙이면, 현재 정렬차순과 반대
reverse
: True면 내림차순 (default = False)
List
2차원 리스트에서 특정 값 기준으로 정렬하고 싶은 경우
arr.sort(key=lambda x:x[0]) # 첫번째 값 기준
arr.sort(key=lambda x:x[1]) # 두번째 값 기준
arr.sort(key=lambda x:(x[0], -x[2])) # 첫번째 값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, 세번째 값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
Dictionary
-
key 기준 정렬
sorted(d) # key 리스트 반환 sorted(d.items()) # (key,value) 리스트 반환 dict(sorted(d.items())) # 딕셔너리 반환
-
value 기준 정렬
sorted(d, key=lambda x:d[x]) # key 리스트 반환 sorted(d.items(), key=lambda x:x[1]) # (key,value) 리스트 반환 sorted(d, key=d.get) # key 리스트 반환